일데뉴 #30 - 2025년 4월 22일

안녕하세요. 오늘은 스미토모상사의 텔레프레즌스 MUSVI 출자, 일본 관세 협상 진전 등 최신 일본 소식을 준비했습니다.
💰 스타트업 투자 동향
MUSVI, 스미토모상사 CVC로부터 투자 유치
- 기업명: MUSVI 주식회사
- 투자자: 스미토모상사 CVC
- 투자 라운드: 시리즈 A 확장 라운드
- 비즈니스 모델: 소니 그룹 기술 기반 텔레프레즌스 시스템 '마도'를 개발·판매하는 기업. 압도적 실재감과 지연 없는 커뮤니케이션으로 대면과 동등한 리얼리티를 구현한 원격 소통 플랫폼을 제공
Unito, 유연한 주거 서비스로 자금 조달 성공
- 기업명: Unito 주식회사
- 비즈니스 모델: 'Relent'라는 독자적 시스템으로 집에 돌아가지 않는 날엔 임대료가 부과되지 않는 주거 서비스 운영. 외박 시 해당 공간을 호텔이나 민박으로 제공해 방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모델. 현재 회원 수 7만7천 명, 운영 중인 건물 113동(845실) 보유
BRAND PORT, 1억 1천만 엔 투자 유치
- 기업명: BRAND PORT 주식회사
- 투자 금액: 1억 1천만 엔
- 투자자: DUAL BRIDGE CAPITAL, 다수의 개인 투자자
- 투자 라운드: 시드
- 비즈니스 모델: 소비재 브랜드에 특화된 그룹 경영 추진. 자체 브랜드 론칭('수직적 신설')과 M&A를 통한 브랜드 공동 창출이 핵심 전략. 설립 반년 만에 2개사 인수, 1개 D2C 브랜드 설립 성과 기록
NTT데이터와 Securitize, 디지털 증권 플랫폼 공동 출범
- 기업명: NTT데이터, Securitize Japan
- 비즈니스 모델: 사채를 발행하는 기업이 사채 구매자 정보를 직접 확보해 특전 제공 및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증권 플랫폼 서비스. '자금 조달과 프로모션의 병행'을 실현하는 새로운 방식 제공
에스매트, IoT 재고 관리 시스템으로 자금 조달
- 기업명: 에스매트 주식회사
- 투자 금액: 누적 조달액 35억 엔
- 비즈니스 모델: IoT 중량계를 활용한 실시간 재고 관리 시스템 'SmartMat Cloud' 제공. 재고의 실시간 파악으로 기업의 재고 관리 효율성 향상 지원
클라우드리걸, 프리 시리즈 A에서 1억 6천만 엔 조달
- 기업명: a23s(클라우드리걸 서비스 제공)
- 투자 금액: 1억 6천만 엔
- 투자자: ANOBAKA(리드), 니세이 캐피탈, 리코 혁신 펀드, 변호사닷컴
- 투자 라운드: 프리 시리즈 A
- 비즈니스 모델: 생성 AI를 활용한 기업 법무 아웃소싱 서비스. 법무·노무 상담, 스마트 계약서 작성, 계약서 검토, 맞춤형 법무 등을 온라인 플랫폼으로 제공
라이트터치, 고객 지원 SaaS로 8억 엔 투자 유치
- 기업명: 라이트터치(RightTouch)
- 투자 금액: 8억 엔(차입금 2억 엔 포함)
- 투자자: 글로벌 브레인, GMO 벤처파트너스, 상공조합중앙금고(차입)
- 투자 라운드: 시리즈 A
- 비즈니스 모델: 고객 지원에 특화된 SaaS 서비스 '라이트서포트' 등 제공. 고객센터 업무 효율화 및 축적된 데이터·노하우 활용으로 능동적 고객 대응 지원. 현재 100여 개 기업 도입, 순환수익률(NRR) 150% 달성
Piece, UTEC 주도로 273만 유로(약 44억 원) 조달
- 기업명: Piece
- 투자 금액: 273만 유로(약 44억 원)
- 투자자: 도쿄대학 엣지 캐피탈 파트너스(UTEC, 리드), Novaterra, East Ventures, Gaiax, KSK Angel Fund, 다수의 엔젤 투자자
- 비즈니스 모델: 부동산 분할 소유권 거래 온라인 플랫폼 운영. 올해 가을부터 증권형 토큰(Security Token) 형태의 'Piece Fractional Ownership' 서비스 정식 출시 예정
야구 스타트업 노웨어, 4억 8천만 엔 투자 유치
- 기업명: 노웨어(Knowhere)
- 투자 금액: 4억 8천만 엔
- 투자자: 글로비스 캐피탈 파트너스(주도), 지바 롯데 마리언스·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현역 프로야구 선수들
- 비즈니스 모델: AI 기반 야구 분석 솔루션 '스마트스카우트(SmartScout)' 개발. MLB와 일본 프로야구 구단에 도입된 첨단 투구 분석 기술 제공
📊 일본 경제 인사이트
환율 및 주가 동향
- 엔화 강세: 엔/달러 환율 140엔대 후반 기록으로 7개월 만에 큰 폭 상승
- 주가 하락: 도쿄증권거래소 종가 전일 대비 450엔 하락, 엔화 강세로 수출 관련 주식 매도세 확대
- 영향 요인: 트럼프 전 대통령의 미 연준 금리 인하 요구, 일본은행의 금리 인상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환율 변동에 영향
- 업계 영향: 수출 기업들의 수익 전망 악화 우려가 투자심리 위축, 내수 중심 기업과 외수 중심 기업 간 주가 차별화 예상
부동산 시장
- 도쿄 아파트 가격 상승: 도쿄 23구 아파트 평균 가격 1억 엔 돌파, 신축 아파트는 전년 대비 11% 상승
- 가격 상승 요인: 저금리 지속, 외국인 투자자 유입, 재개발 사업에 따른 주택 공급 제한
- 시장 양극화: 도심 부동산 가치 상승 vs 인구 감소 지방 부동산 가치 하락의 이중 구조 심화
일본은행 및 금융 정책
- 기준금리 인상 기조 유지 전망: 미국 관세 정책 등 불확실성 증가에도 물가 안정 목표 실현 시나리오 유지
- 금융정책 회의: 4월 30일~5월 1일 개최,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정책이 세계 경제와 일본 경제 및 물가에 미치는 영향 논의 예정
- 경제·물가 전망: 실질 GDP 성장률과 소비자 물가(신선식품 제외 핵심 CPI) 전망 하향 조정 가능성 제기
IT 엔지니어 노동시장
- 임금 수준: 일본 IT 엔지니어 평균 임금 약 447만 엔으로 미국(약 1421만 엔), 영국(약 776만 엔)에 비해 낮은 수준
- 인력 부족 심화: 연령별 연간 임금은 25세 평균 389만 엔, 45세 이상 600만 엔대로 연령 증가에 따라 상승
- 기업 규모별 격차: 직원 수가 많을수록 임금 수준 높고, 특히 1000명 이상 기업에서 그 경향 두드러짐
- 가격 조정 필요성: 인건비, 외주비, 에너지 비용 모두 전년 대비 가격 조정 필요성 상승, 특히 인건비에서는 80%의 기업이 조정 필요 응답
📢 주요 뉴스
이시바 총리, 미국과의 관세 협상 입장 표명
- 이시바 총리는 미·일 양자 협상이 "세계의 모델이 될 수 있다"고 강조하며 일방적 양보는 없을 것임을 분명히 함
- 주일 미군 주둔 비용 등 안보 문제는 관세 문제와 분리해 논의할 것을 강조
- 농업 분야에 대해서는 "일본 농업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"며 관세나 최소수입량 유지 의지 표명
일본, 한국산 쌀 26년 만에 수입
- 일본 내 쌀값 급등으로 1999년 이후 처음으로 한국에서 쌀 수입
- 한국농협 도쿄 사무소를 통해 한국산 쌀 2톤이 일본 온라인과 슈퍼마켓에서 판매, 이미 완판되어 추가 20톤 도착 예정
- 일본 쌀 가격은 2025년 3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약 92% 상승, 1971년 이후 최대 상승률 기록
스미싱 등 사기 신고 건수 사상 최고치 기록
- 2025년 3월 피싱 사기 신고 건수 249,936건으로 역대 최고치 기록(전월 대비 108,713건 증가)
- 특히 증권사 사칭 사례 급증, 계좌 탈취 후 무단 거래로 인한 손실 피해 발생
- 브랜드별로는 아마존 사칭이 가장 많아 전체의 약 22.5% 차지
YUTORI, 자회사 신설 및 사업 분사 결정
- 영 컬처 사업을 승계할 자회사 'YZ'와 코스메틱 사업을 승계할 자회사 'POOL' 설립
- 8월 1일 분할 효력 발생 예정으로 사업 수익 관리 강화, 운영 효율화, 의사결정 신속화 목표
- 신설 자회사들의 임원 체제도 함께 발표
이토추상사,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가동
- 국내외 600여 거점에서 공통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시스템 구축
- 기존 엑셀 형태 데이터 수집에서 발생하던 시간 낭비, 오류, 데이터 정확성 문제 해결
- ESG 활동을 '기업 가치 향상의 수단'으로 명확히 제시하며 비즈니스 일환으로 추진
향후 일본 정권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
- 자민당·공명당 단독 정권 지지율 14%에 불과, 자민당·공명당과 야당 연합 정권 지지 48%
- 미국과의 정치·외교 협상에 대해 59%가 '별로 기대하지 않는다'고 응답
- 전문가들은 올 여름 참의원 선거에서 정치 지각변동 가능성 예상